본문 바로가기

세월도, 우리 인간도, 자연의 한 부분이 아니던가요? 세월은 우리들 얼굴에 깊은 주름살을 남기지만, 살아가며 가슴속에 응어리 진 상처를 아물게도 합니다. 다만 그 상처가 너무 깊으면 배어 나와 얼굴에 각인되기도 하더군요. ​ 잊혀져 가는 노 배우들의 눈부셨던 시절처럼 우리들에게도 빛나는 시절이 있었지요. ​ "Things do not change; we change."(세상 만물은 변하지 않는다, 변하는 것은 우리들이다.) ​ 인류가 그토록 찾고자 한 변하지 않는 眞理가 사회나 제도나 법률이 아닌, 우리가 그 품에 안겨 살아가는 自然에 면면히 흐르고 있음을 새삼 발견한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자신의 일기(Journal)와 저서인 월든(Walden)에도 남긴 말입니다. ​ 더 젊은 시절엔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던 옛말을 곧이 곧 대로 받아들이곤 했지만.. 더보기
봄날 텃밭에서 고대 로마의 철학자 키케로(BC106 – BC43)는 그의 저서 에서 노년기가 만족스럽지 못한 네 가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적었다. “대체 노년기에 접어드는 것이 불만족스러운 이유가 무엇일까? 곰곰이 생각하니 거기에는 적어도 네 가지 이유가 존재했다. 첫째는 활동이 부자유스러워진다는 점, 둘째는 체력이 노쇠해진다는 점, 셋째는 육체적인 쾌락을 누릴 수 없다는 점, 넷째는 죽음이 코앞에 다가온다는 점이다.” 누구나 말할 수 있는 불만족스러운 점들만 나열하는데 그쳤다면, 과연 키케로의 책이 후대에 걸쳐 그토록 면면히 읽혀 내려올 수가 있었을까? 역시 그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이렇게 적고 있다. “소년은 유연하고, 청년은 저돌적이며, 장년은 위엄이 있고, 노년은 원숙하다. 이러한 자질들은 제철이 되어 거두어.. 더보기
아! 미얀마! 은둔의 나라 미얀마가 또다시 정치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있다. ​ ‘정치’의 의미를 사전을 통해 다시 살펴본다. 즉, ‘국민들이 인간답게 삶을 영위하도록 보호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권력을 잡고 행사함으로써 국가를 다스리는 수단’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당연히 목적과 수단이 조화를 이뤄야 올바른 정치일 것이다. 그런데 수단이 목적을 뒤 덮어 가려버리면 어떻게 될까? ​ 예전에 업무 차 방문했던 양곤에서의 장면들을 주마등처럼 떠올린다. 그 때도 열대의 태양은 풍요로운 들판과 가난한 집 창가를 가리지 않고 고루 비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때도 보이지 않는 것들에 뒤 덮여 가려진 상황이었다. ​ -양곤 착륙 비행기에서- 드넓은 들판에 파릇파릇한 논과, 추수하는 이웃 논과, 이제 막 모를 심는 그 이웃..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