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자 도덕경> 老子, 道를 묻다

<道 셋> 꾸며서 이룰 일 없으니 만사가 평안하더라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強其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智者不敢為也。

為無為,

則無不治。



老子는 말했고, 

나는 이렇게 들었다.


"자연 만물은 

본래보다 현명해지려고 애쓰지 않는다.

그래서 다툼이 없다.

본래 보다 많은 것을 가지려 애쓰지 않는다.  

그래서 그 이상 훔치지도 않는다.

현재의 필요 이상 욕심 내는 걸 볼 수가 없다.

그래서 어지러울 일도 없다.


마찬가지로 

자연 만물의 이치를 통해 道를 깨닫는 사람은,

저절로 마음 비우게되고, 

순리(順理)로 배 채워져,

다른 생각 들지 않고,

자연히 몸 건강해져 정신도 맑아지더라.

따로 알고자 하지 않아 마음의 욕심 사라지니,

굳이 안다고 나설 일도 없더라.

꾸며서 이룰 일 없으니 만사가 평안하더라."



*

법정스님은 당신의 글 

<홀로 사는 즐거움>에서 이렇게 적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행복하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13세기 독일의 신학자 '마이스터 엑하르트'는

마음이 가난한 사람을 이렇게 풀이한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아무 것도 더 바라지 않고,

아무 것도 더 알려고 하지 않으며,

아무 것도 더 가지려고 하지 않는다."


욕망으로부터의 자유,

지식으로부터의 자유,

소유로부터의 자유를 말하고 있다.

심지어 그는

"神으로 부터도 자유로운 사람만이 

진정으로 가난한 사람이다."

라고 하였다.』


**

그러고 보면 자연 만물은 

욕망, 지식, 소유로 부터 자유롭기에 

神으로부터도 자유롭다.

자유롭지 않은 인간은 

어떻게 만물 위에 군림했을까?

혹시, 

군림했다는 착각 속에서 사는 건 아닐까?

과연 자연 만물이 인간을 우러를까? 

아니면 두려워 할까?

이도 저도 아니고 그냥 측은해 할까?


***

우리의 세상은 

인간 사회라는 눈 앞에 펼쳐진 

외면 세계가 있고,

보이지는 않으나 분명히 존재하는 

저마다의 내면 세계가 있다. 


외면 세계가 

아무리 억압되고 부자유스럽더라도

우리는 내면 세계를 통하여 

그만큼 더 자유로울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유와 부자유의 균형, 

삶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욕구와 

굳이 필요치 않은 욕망과의 균형,

즉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 내면 세계의 자유를 

가난한 마음이라 이르고,

이를 통해 얻는 자유로운 세상을 

하늘나라라고 이르는지도 모르겠다.


****

새삼스러운 발견.

우리는 내면 세계에서 조차 꾸밀 일은 없다.

꾸밈없는 내면 세계에서

법정스님의 홀로 사는 즐거움에 가까워지거나,

노자의 道에 가까워 질 수 있을 것이다.